통일부는 11일 오전 우리측 기술진 3명이 북측 인원 11명과 함께 굴착기를 비롯한 개성공단내 현대아산 소유 건설 장비를 이용해 전자출입체계(RFID) 장비 설치를 위한 터파기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남북 출입사무소가 통신 회선으로 연결돼 출입자 명단을 전산 처리하는 이번 RFID 시스템공사는 구축되면 출입예정 당일에 한해 자유롭게 개성공단을 드나들 수 있게 된다.
현재는 개성공단 출입이 미리 통보한 시각에만 가능해 불편함이 노출됐다.
하지만 RFID 시스템이 운영되더라도 방북 사흘 전에 통일부에 통보해야 하는 점은 현재와 같다.
남북은 이미 2007년 남북총리회담과 장성급 군사회담을 통해 3통 해소에 관한 당국 간 합의와 군사적 보장까지 마쳤지만, 구체적 이행 방안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지금껏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 조성 초기 때부터 거론돼온 해묵은 숙제인 통신·통행·통관(3통) 개선 문제는 이번 공사로 일단 진전을 보게 됐다.
한편 정부는 남북이 합의한 개성공단 상사중재위원회에 참석할 우리측 위원을 확정하고 이날 북측에 명단을 통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