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해외규격인증지원, 유망바이어초청상담회 등 경기도에서 추진한 각종 수출 지원책들이 줄줄이 사라진다.
경기도가 심각한 재정위기 극복을 위해 관련 예산이 삭감된 탓인데, 이에 따라 도내 수출기업에 대한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
1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수출기업 지원을 총괄하는 도 교류통상과에 배정된 내년도 예산은 총 90억원으로 올해(약 120억원) 대비 25% 감소했다.
이에 따라 도에서 추진하는 15개의 수출지원책 중 6개 사업이 올해를 끝으로 종료된다.
6개 사업은 ▲수출기업 해외지사화 사업 ▲해외규격인증지원 ▲수출기업 통·번역지원 ▲유망바이어 초청상담회 ▲해외마케팅 전문인력 양성 ▲경기WTC(World Trade Center)수원 운영비 지원 등이다.
‘수출기업 해외지사회 사업’은 전년도 수출액 2천만달러 이하 도내 기업을 대상으로 해외에 구축된 코트라(KOTRA) 현지 네트워크 및 인프라를 활용해 지사화를 지원하는 것으로 예산 2억5천만원이 전액 삭감됐다.
총 1억원을 투입, 해외바이어 및 전문무역상사를 초청해 수출기업에게 판로개척 기회를 제공하는 ‘유망바이어 초청상담회’도 올해로 종료된다. 이 사업은 올해에만 80개 도내 수출기업이 해외 시장 개척의 기회를 얻었다.
‘중소기업 해외마케팅 인력 양성’도 일몰된다.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무역인력에게 FTA종합실무, FTA품목관리 및 원산지결정기준 등 FTA 전문교육을 비롯해 무역실무, 외국어 전문교육 등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는 이번 사업은 관련 예산 1억5천만원이 모두 삭감됐다.
이외에 CE(유럽공동체마크), NRTL(미국국가시험인증) 등 해외 인증에 필요한 비용의 50%를 지원하는 3억원 규모의 ‘해외규격인증 사업’과 총 1억원을 들여 무역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외국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출기업 통·번역 지원’도 올해로 종료된다.
도 관계자는 “재정위기에 따른 예산 삭감으로 어쩔 수 없이 우선순위를 정해 사업을 정리했다”며 “6개 사업에 대한 일몰 기준은 기업 호응도가 다른 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다른 기관과의 중복성을 따져 결정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