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공공도서관 운영 ‘악순환 되풀이’ 이유 있었네
경기도내 공공도서관 10곳 중 3곳이 정부 인증 도서관으로 등록 조차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인력 부족에 따라 법정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까닭인데, 이들 도서관의 정규직 비율도 27.5%에 그쳐 실제 운영 대부분을 기간제 근로자, 자원봉사자 등 비정규직에 의존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에 소재한 총 200곳의 도서관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도서관은 136곳에 불과했다. 정부 등록 도서관은 사서직 3명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
이에 따라 도내에서만 64곳이 정부가 인증하는 공공도서관으로 등록하지 못하고 있다.
미등록 도서관은 정부에서 매년 실시하는 전국 도서관 평가 대상에서 제외돼 관련 정부 지원 사업 참여가 불가능하다.
지역별 등록 미달 도서관은 고양시가 9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흥 7곳 ▲파주·양평 각 6곳 ▲양주·가평·안산·오산 각 4곳 등의 순이다.
특히 도내 공공도서관의 정규직 채용률은 30%를 채 넘지 못했다.
도내 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인력(민간위탁·사립·교육청 공공도서관 제외)은 모두 4천666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정규직은 1천285명(27.5%)에 그쳤고, 나머지 인원은 무기계약, 기간제 또는 자원봉사자로 채워졌다. 정규직 중 사서직은 554명(11.8%)으로 비정규직 의존도가 더욱 심했다.
도 관계자는 “도서관 운영 대부분이 비정규직에 의존하는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고 신규인력 충원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인력 부족이라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내년부터 도와 31개 시군이 시행하는 ‘시간 선택제 공무원 채용’ 등을 통해 도내 도서관의 정부 등록과 인력 부족 현상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