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9일 전날에 이어 역사교과서 국정체제로의 환원 문제를 둘러싸고 연일 공방을 벌였다.
새누리당은 국가적 통일성을 위해 역사교과서의 국정 체제 전환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유신시대로 돌아가려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고 강력 반발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김희정, 민주당 유기홍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공개 설전을 펼쳤다.
김 의원은 “국정교과서 환원에 대한 당의 입장이 정해진 것은 없다”면서도 “지금과 같은 시스템이 매년 반복돼선 안 되고 개선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국정교과서도 함께 고민해야 할 타이밍”이라며 국정교과서도 유력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국가적 통일성이 필요한 교과목의 경우는 국정교과서를 채택한다”며 “우리나라는 분단국가에다 주변국가가 역사왜곡을 일삼는 특수상황을 감안해야지 국정교과서가 민주주의 국가에서 드물다고 병렬적 관계에서 이야기할 부분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반면 민주당 유기홍 의원은 “1974년 유신교육을 위해 역사교과서를 국정화 했다가 세계적인 흐름과 민주화의 추세 속에서 2002년 검인정체제로 전환됐다”며 “지금 국정교과서로 돌아간다는 것은 역사의 수레바퀴를 거꾸로 돌리는 일이고 ‘다시 유신교육으로 돌아가자는 거냐’는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야당은 처음부터 이 문제를 이념 문제로 제기하지 않았는데 새누리당과 일부 보수단체들이 기존에 검인정을 다 통과했던 교과서를 다 종북으로 몰면서 역사교과서 이념 갈등이 생겨났다”고 덧붙였다.
여야 지도부도 상반된 입장을 드러내며 격돌했다.
새누리당 유기준 최고위원은 강원도 고성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역사에 대한 시각과 판단을 바로 정하지 못한다면 역사교과서 논란은 향후에도 거듭될 것”이라면서 “후세를 위해서라도 국정교과서로 환원을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반해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당 고위정책-정치개혁특위 연석회의에서 “국정교과서 주장은 역주행이자 독선, 독재, 유신회귀 발상으로, 새누리당은 이를 꿈도 꾸지 말라"며 "더 이상 역사와 교육을 이념논쟁에 끌어들여선 안 된다. 유신의 망령과 독재의 유혹에서 허우적대지 말라”고 반대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