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기업과 연구소, 법률사무소 등에 필요한 지식재산 전문인력 양성에 나선다.
도는 올해 3억원을 들여 상·하반기에 각 40명씩 총 80여 명의 지식재산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2014 지식재산 전문인력 양성 및 취업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삼성과 애플사 간 특허분쟁 이후 선진국 주요기업들의 특허공세가 거세지면서 수요가 늘고 있는 지식재산권(IP) 전문인력을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 경기도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도입했다.
과정은 기수별 집체교육과 인턴십 과정이 각각 8주 320시간에 걸쳐 단국대 죽전캠퍼스에서 실시된다.
집체교육은 특허 명세서 작성, 특허번역, 기술가치 평가 등 실습 중심으로 운영되며 인턴십 과정은 기업현장에 배치돼 직무별 특정분야 실무를 교육받게 된다.
상반기 교육은 오는 3월 7일까지 교육생을 모집하며 교육은 4월 1일부터 시작된다.
신청은 경기테크노파크(www.gtp.or.kr)와 경기지식재산센터(www.ripc.org/ansan)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다운로드 후 이메일로 가능하다.
최현덕 도 경제투자실장은 “강한 지재권은 뛰어난 전문인력을 통해 창출되고 보호된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지식재산권 전문인력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도내 중소기업이 지식재산 창출·보호·활용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가 지난해 IP 기업 등 관련 기업 21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이 가운데 19개 기업(90%)이 IP 전문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개 기업은 신규채용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 최근 정부는 오는 2017년까지 지식재산 전문인력이 1만2천여명 가량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홍성민기자 h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