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형 요즈마펀드’가 무산(본보 12월 25일 3면 보도)된 데 이어 250억원 규모의 ‘경기도 문화콘텐츠 창의펀드’(이하 창의펀드) 조성도 좌초 위기에 빠졌다.
창의펀드 조성은 도 중소기업육성기금을 통해 100억원 규모의 공공출자 계획을 세웠으나 관련 부서 간 조율 없이 진행되면서 차질이 발생, 재원 마련에 경고등이 켜졌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달 게임, 영화, 드라마 등 문화콘텐츠 산업 관련 기업을 위한 25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 추진안을 발표하고 오는 3월 경기콘텐츠진흥원을 통해 운용사를 모집할 계획이다.
창의펀드는 도가 100억원을 출자하고 민간에서 150억원 이상을 조성해 투자기간 5년, 관리기간 2년 등 총 7년간 운영될 예정이었다. 이 가운데 공공재원 출자는 중소기업육성기금을 통해 조달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이번 재원 확보 방안은 기금 담당 부서와 해당 자금 협조에 대한 합의 없이 무리하게 진행, 펀드 조성이 무산 위기에 처했다.
이번 사업 추진은 문화산업과가 담당하며 이와 별도로 중소기업육성기금에 대한 관리·운영은 기업지원과가 맡고 있다.
문화산업과 관계자는 “펀드 추진을 위한 공공재원 출자가 어렵게 됐다. 최근 기금 담당과에서 펀드 사업이 완료되는 7년 후 원금 상환 조건을 제시했지만 투자 대상이 리스크가 큰 성장기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것이어서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전했다.
100억원의 출연금을 사실상 무상(?)으로 협조받으려던 기존 구상안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이에 따라 문화산업과는 중소기업이 아닌 중견기업 이상으로 투자 대상을 재설계해 기금 조달 협조를 이끌어 낸다는 계획이지만 기금이 중소기업 용도로 묶여 이마저도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
기업지원과 관계자는 “중견기업을 위한 기금 협조는 쉽게 결정할 사항이 아니다. 이를 위해선 기금운용심의위원회 승인 등의 절차가 필요한데 자금이 용도를 벗어난 전용 논란이 붉어질 수 있어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한편 도 중소기업육성기금(지난해 말 기준)은 총 1조원 규모로 이 가운데 약 6천886억원이 중소기업에게 대출됐고 예치금은 2천924억원 가량이다. 도는 기금 융자 사업을 통해 발생한 금리 수익을 기업 대출 이자의 일부(1~2.5%)를 대신 내주는 ‘이차보전’을 위해 사용한다.
/홍성민기자 h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