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가 5개월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여야는 20일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문제 등의 ‘게임 룰’을 놓고 다시 공방전을 펼쳤다.
현재 국회 정치개혁특위는 21일과 23일 관련 소위를 열고, 28일 기초선거 공천문제를 포함한 지방자치 선거제도와 지방교육자치 선거제도 개선안을 의결할 예정이지만 합의 도출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설사 공약을 했어도 큰 부작용이 예상되면 대안을 찾고 국민께 솔직히 이해를 구하는 것이 용기 있는 정치이자 책임정치”라면서 정당공천 유지를 재확인했다.
그는 안철수 의원이 전날 공천폐지를 촉구한데 대해서도 “본인의 선거 유·불리에 따른 정략에 불과하고 지방선거 전에 창당이 불투명해지자 이런 주장(공천폐지)을 들고 나왔다”면서 “오만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새누리당 김기현 정책위의장은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 “명백히 위헌 소지가 크다고 한 마당에 계속 추진하는 것은 무책임한 것 아니냐는 고민을 하고 있다”면서 “22일쯤 의원총회에서 토론 후 최종 결론을 내리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이날 광주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과의 약속은 하늘이 무너져도 지키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이 약속을 깡그리 뒤엎고 있다”며 “정치개혁 대표 공약인 정당공천 폐지는 절대 되물릴 수 없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관철을 위해 21일 부산에서 김 대표를 비롯해 영남 지역 기초단체장과 기초의회 의원들이 참석하는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공약 준수 촉구대회’를 열 예정이다.
이어 24일에도 국회에서 전국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이 모여 ‘기초선거 공약이행 촉구 및 파기 시도 규탄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안철수 의원 측 창당준비기구인 ‘새정치추진위원회’ 송호창(의왕·과천) 소통위원장은 YTN 라디오에 출연해 안 의원의 과거 ‘단계적 정당공천 개선’ 주장과 관련, “정당공천을 폐지하는 것이 전제가 되고 이후 부수적으로 보완해야 할 사항들이 있으면 단계적으로 보완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한 말씀”이라며 정당공천 폐지를 거듭 촉구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