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협동조합 지원 업무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통합지원센터를 설립한다.
도는 3일 이 같은 내용의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하기로 하고 위탁운영 우선 협상대상자로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 부처별경체계가 달라 개별 추진해 온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협동조합 업무를 통합해 관련 기업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적 기업은 고용노동부 관할이며, 마을기업과 협동조합은 각각 안전행정부,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다.
통합지원센터는 각 부처가 맡고 있는 지원 업무를 업종·기업의 규모·매출액·소재지 등으로 통합해 다양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추진하게 된다.
도는 이번 통합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지난해 7월 사회적 경제관련 업무를 경제정책과 소관으로 일원화했으며 올해 통합지원센터 설립에 필요한 ‘경기도 사회적경제 육성지원 조례’ 제정 등 필요한 행정절차를 마쳤다.
도 관계자는 “도는 전국에서 사회적 경제 기업이 가장 많은 광역지자체”라며 “양적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판단 아래 통합지원센터 설립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도에는 사회적기업 386개, 마을기업 164개, 협동조합 459개가 있다. 이 가운데 협동조합은 지난 2012년 12월 기본법 시행 이후 400여개가 설립되는 등 단기간 증가세를 보였다.
/홍성민기자 h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