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홀로서기’ 지원에 나선다.
도는 올해 사회적기업이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창업-성장-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사회적기업이 양적으로 급성장했지만 대부분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사회적기업은 지난 2011년 282개에서 2년 만인 지난해 386개로 104개(36.8%) 증가했다. 이들 기업이 만들어낸 일자리도 2011년 5천219명에서 2013년 6천581명으로 1천362명(26%) 늘어났다.
반면, 도가 실시한 2011년 사회적 기업의 연평균 매출액 조사를 보면, ‘5억원 미만’ 업체가 전체의 80.1%(226개)에 달했고, ‘10억원 이상 50억원 이하’의 매출을 기록한 업체는 9.9%(28개)에 그쳤다.
또 2011년 전국 사회적기업 가운데 정부보조를 포함했을 때 흑자인 기업은 63.7%에 달하지만, 이를 제외하면 흑자기업은 14.1%로 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개발비,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비, 전문인력 인건비 등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없으면 사회적기업의 경영이 녹록지 않은 셈이다.
이에 따라 도는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월 1차례 우수 사회적 기업을 발굴해 지원한다.
세부적으로는 마케팅에 취약한 사회적기업을 위해 대형 유통점과 온라인 진출을 지원하고 올 상반기 내 백화점과 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 한 곳을 정해 입주시킬 계획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의 ‘경기행복샵’과 ‘N샵’ 등 온라인 시장에도 60개 기업의 입점을 추진하고 매출액과 품질 등을 고려해 스타 사회적기업 20곳을 발굴, 경영자금도 지원하기로 했다.
/홍성민기자 h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