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의회가 업무량에 비해 공무원 정원이 부족해 인력난을 겪고 있는 화성시의 총액인건비 증액을 요구하는 건의안을 채택하고 안전행정부에 증원을 요구하기로 했다.
12일 화성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현재 화성시 공무원은 1천544명으로 시의 발전 속도와 민원처리량에 비하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시가 올해 안전행정부에 119명의 증원을 요구했으나 안행부는 공무원 운영 실태 등 지자체의 여건을 고려해 13명만 내려보내 폭주하는 민원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는 지난해 건축 민원 9천300여건을 처리하는 등 모두 17만여건의 민원을 처리했다. 이는 광역지자체 1년 건축인허가량에 해당하는 업무량이다.
게다가 공무원 1인당 담당 주민수가 2004년 267명에서 2013년 343명으로 증가했으나 공무원 정원은 현재까지 거의 동결된 상태다.
이에 시의회가 화성시 행정수용에 걸맞은 조직 확대 및 공무원 증원이 필요하다며 ‘총액인건비 증액 건의안’을 발의하고 안행부에 공무원 119명의 증원을 요구하기로 했다.
시의회는 “급격한 인구 증가 추세에 따라 행정수요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나, 행정서비스를 위한 조직과 정원이 타 시·군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서 “증원이 불가피 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시의회는 이런 화성시의 특수성을 감안해 제대로 된 행정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화성시의 공무원 증원은 당연하다는 주장이다.
정현주 의원은 “화성시는 인구가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는 데 반해 공무원 수를 동결해 시민 삶의 질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며 “시의 이런 특수성을 감안해 공무원을 증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도 “업무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정부가 총액인건비를 이유로 발목을 잡고 있다”면서 “공무원 정원과 조직을 결정할 권한은 자치단체에 이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화성=최순철기자 so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