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안철수 의원측 새정치연합이 ‘제3지대 신당 창당’ 속도를 놓고 협의 초반부터 신경전을 표출했다.
이는 민주당이 6·4 지방선거 준비를 위해 ‘3월말 창당’을 강조한 반면 새정치연합은 ‘새정치의 내용’을 담는 것이 먼저라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측의 이같은 신경전은 3일 신당추진단 첫 회의에서 민주당 측 단장인 설훈(부천원미을) 의원이 창당 속도와 관련 “3월 말까지 창당 작업을 마무리하려면 시간이 부족하다. 제대로 된 내용은 신당을 만든 뒤에 하나하나 국민에게 내놓을 수밖에 없다”며 재촉한 것이 발단이 됐다.
하지만 신당추진단 공동단장을 맡은 새정치연합 김효석 공동위원장은 4일 MBC 라디오에 출연 “민주당이 진정으로 개혁하려는 의지가 없다면 언제든지 (신당 창당을) 깰 수 있다는 각오를 갖고 임한다”고 경고장을 날렸다.
민주당이 창당 시점을 3월 말로 제시한 데 대해선 “시간이 걸리더라도 안철수 현상으로 나타난 새정치의 바람을 정강정책이나 당헌당규에 충분히 담아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며 “일정이 빠듯하긴 하지만 민주당의 일방적 스케줄에 말려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창당 시점은) 민주당이 얼마나 결단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3월 말까지는 빠듯한 일정인데, 시간에 쫓겨 일방적으로 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새정치연합의 이같은 ‘경고음’은 창당 작업에 임하는 양측의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창당 과정에서 안 의원의 ‘트레이드마크’인 새정치 정신이 퇴색될 가능성을 우려하며, 시간에 쫓기기보다 새정치의 내용을 세밀하게 가다듬어 통합 신당의 당헌·당규, 정강·정책에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새정치연합은 신당추진단 외에 가칭 ‘새정치비전선포위원회’를 구성해 안 의원이 주장하는 새정치 구상 등을 따로 논의하자는 제안도 하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은 현실적으로 당면한 지방선거에서 야권 통합의 시너지효과를 내려면 신당을 우선 발족시키는 게 시급하며, 새정치연합이 가장 중시하는 신당의 정강·정책, 당헌·당규에 대해서도 현재 양측의 가치에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어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