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5일 ‘제3지대 신당 창당’ 과정에서 기득권을 버리고 지분 나누기를 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지만 통합 방식에 대해서는 양측이 초장부터 삐걱거리는 모습이다.
우선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이날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과의 6·4 지방선거 공천 문제와 관련, “공천은 지분에 관계없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최적·최강의 후보를 내세워야 한다는데 (안 위원장과) 공감했다”며 “안철수식 새정치의 일단”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첫 지도부 연석회의에서 “공천지분을 놓고 줄다리기 같은 것 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모두가 각자 기득권을 내려놓고 하나가 돼 새정치, 약속을 실천하는 정치, 생활밀착형 정치를 제대로 보이면 국민에게 새로운 희망을 드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 운영위원장도 “미완으로 그친 과거의 통합 사례를 답습해서는 안 된다. 더 내려놓아야 한다”면서 “우리의 첫걸음이 세 달 후 지방선거 결과를 좌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양측은 구체적인 통합 방식을 놓고는 실무 협상에서부터 진통을 겪고 있다.
이는 통합 방식과 관련, 민주당은 제3지대 신당이 만들어지면 민주당이 신당과 ‘당대당 통합’을 주장하는 반면, 새정치연합은 민주당도 해산 후 신당에 합류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이 차례로 합류하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민주당이 신당과 합당하는 형태로 통합할 것인지, 아니면 당을 해산하고 신당에 개별 입당할지를 놓고 양측이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민주당은 당을 해산하면 55억원대 국고보조금을 날리고, 당원들이 모두 민주당에서 나갔다가 신당에 합류해야하는데 일부는 이탈할 가능성이 높고, 해산을 결의하기 위한 전당대회를 개최하는 것도 절차상 번거롭다는 지적이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안 운영위원장의 ‘새정치’ 구상을 담아내려면 기성 정당과의 합당보다는 해산 한 뒤 합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어서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