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통합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출범을 하루 앞둔 25일 ‘기초선거 무공천’을 둘러싸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같은 논란의 확산은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간 통합의 연결고리가 됐던 기초선거 무공천을 겨냥한 전날 문재인 의원의 문제 제기가 더욱 도화선이 됐다.
문 의원은 지난 24일 부산 지역 언론사 정치부장단과의 간담회에서 “상대방인 새누리당에서 게임의 룰을 바꾸려는 의사가 없는 상태에서 민주당만 무공천을 할 경우 일방적인 선거 결과가 우려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자 친노계로 분류되는 박범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기초선거에서 야당의 궤멸적 패배가 불을 보듯 환해진 지금, 집권당에 의한 완전한 ‘풀뿌리의 장악’이라는 민주주의의 파괴가 예측되는 지금, 무공천은 약속과 진정성의 문제를 넘어 민주주의의 문제가 돼 버렸다”며 문 의원을 지원사격했다.
당내 중진과 소속 기초자치단체장들도 이런 주장에 동조하고 나섰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공천제를 폐지할 경우 졸부들의 진출과 비리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공천을 해야 한다고 줄기차게 주장해 왔다”고 했고, 이해식 강동구청장은 MBC 라디오에서 “무공천방침은 전체 당원의 의사를 물어서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기초선거 무공천은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통합을 결정하게 된 핵심 고리가 된 만큼 이에 대한 재검토는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과의 약속을 실천하는 데서 새정치가 시작된다”면서 “우리는 국민을 믿고 가야 한다. 약속을 지키는 정치가 거짓 정치를 이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시장 출마를 선언한 김부겸 전 의원도 CBS 라디오에서 “지금 와서 다시 뒤집는다면 국민들로부터 쓰레기 취급을 당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도 이날 취재진과 만나 “기초선거 무공천이 (민주당과의) 통합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였다. 아무리 어렵더라도 약속을 지키는 것이 국민께 인정받는 것”이라며 재검토론을 정면 반박했다.
이러한 가운데 경기도지사 경선 후보인 원혜영(부천 오정) 의원이 26일 오전 국회에서 ‘기초선거 무공천’과 관련된 입장을 밝힐 예정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