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신개념 ‘논리적·물리적’ 망분리 부상

道 검토… ‘문제는 예산’
서울 ‘제3형태’ 시범운영

저렴한 비용에 강력한 보안성까지… 대책 없나요?

광역과 기초지자체에도 중앙정부, 금융권과 같은 내부 업무망과 외부 인터넷망을 분리하는 ‘망분리’ 도입이 시급하다. 그러나 예산 문제가 걸림돌이다. 중앙정부와 같이 1인당 컴퓨터를 두 대씩 보급하는 ‘물리적 망분리’는 수천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까닭이다.

망분리 중 물리적 방식보다 보안 측면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지만 구축 비용은 낮은 ‘논리적 망분리’가 새로운 정보보안 대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논리적 망분리’는 한 대의 PC에 두 개의 가상영역을 운영해 외부 인터넷망과 행정업무망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최근 고객정보 유출사건을 빚은 금융사들이 줄줄이 도입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 같은 ‘논리적 망분리’ 도입 등을 검토했지만 60억원 이상의 예산이 소요, 빈약한(?) 정보보안 예산에 발목이 잡혔다.

이에 따라 지자체 가운데 제3형태의 망분리를 시도한 서울시가 주목된다.

서울시의 경우 올 1월부터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책으로 망분리를 시범 추진 중이다. 서울시가 도입한 것은 ‘스마트 패드를 이용한 물리적 망분리’다.

이 방식은 하나의 PC에 인터넷망과 내부 행정망이 모두 연결된 기존 시스템에서 갤럭시 노트 등 스마트 패드를 활용해 외부 인터넷망을 분리한 구조다.

즉 기존 PC에는 내부 행정망만을 연결하고 인터넷망은 별도로 분리해 스마트 패드로만 이용이 가능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스마트 패드를 이용한 물리적 망분리’의 경우 PC 1대당 구축비용이 80만원 가량이다. 이 방식은 비용이 100만원 정도인 ‘논리적 망분리’ 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보안 측면에서도 우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총 100대의 컴퓨터에 도입한 ‘제3형태의 망분리’ 시범 사업의 운영 결과에 따라 오는 2017년까지 이 방식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홍성민기자 hsm@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