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가 불과 2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는 13일 사실상 본격적인 선거체제로 전환했다.
여야는 이날로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할 광역단체장 후보가 최종 확정됨에 따라 본격 지방선거에 시동을 걸었다.
이날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은 후보자 등록일(15~16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선거대책위 출범과 당 차원의 지방선거 공약집을 내놓으면서 지방선거 필승을 다짐했다.
여야는 이날 새정치연합의 송하진 전북지사 후보 선출을 끝으로 17개 광역단체장 선거의 대진표도 모두 확정했다.
이에 따라 여야는 그동안 특정 지역의 공천 잡음 등으로 미뤄진 기초단체장이나 광역·기초의원 후보 공천도 후보자 등록 전 마무리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새누리당은 전날 정몽준 서울시장 후보 선출을 끝으로 광역단체장 후보를 확정한데 이어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을 개최했다.
새누리당은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황우여 대표, 이완구 원내대표, 서청원 이인제 김무성 최경환 의원, 한영실 전 숙명여자대학교 총장 등을 포진시켜 ‘7인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키로 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인명 구조의 의무 규정을 위반할 경우 처벌을 대폭 강화하고, 여객선 승객·화물 관리를 항공기 수준으로 높이기로 하는 내용이 담긴 지방선거 공약집도 발표했다.
이번 공약에는 포화 상태에 달한 경부고속도로의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건설 등이 담겼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앞서 지난달 11일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와 대선주자로 나섰던 문재인· 손학규·정세균·정동영·김두관 상임고문 등 7명이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참여하는 이른바 ‘무지개 선대위’를 발족했다.
새정치연합은 후보등록일이나 오는 22일부터 시작되는 선거운동 기간에 맞춰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공식 발대식을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새정치연합도 이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방향으로 관리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고, 국회의원 징계안 본회의 자동상정제를 도입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유권자 맞춤형’ 지방선거 공약집을 발간했다.
새정치연합은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와 여당의 ‘책임론’을 집중 파고들 계획이다.
이번 지방 선거는 역대 어느 선거보다도 뚜렷한 양자대결 구도 속에 치러지는 가운데 세월호 참사 정국의 여파로 두드러진 선거 이슈가 실종된 상황에서 중도층과 40대 여성의 표심 향배, 투표율 등이 선거 결과를 가르는 중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