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영공원의 토양오염 정화가 문화재 조사로 인해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부평 미군기지 맹독성 폐기물처리 진상조사 시민 대책위원회’는 11일 성명을 내고 부영공원 문화재 발굴조사와 토양오염 정화를 동시에 진행할 것을 인천시와 부평구, 환경부와 문화재청에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부영공원 오염물질은 중금속뿐 아니라 벤젠, 자일렌, TPH(석유계총탄화수소) 등 유류로 인해 문화재 시굴조사 터파기 과정에서 이 오염물질들이 대기 중으로 확산되면 시민들의 환경피해 위험성을 제기했다.
대책위원회는 “부영공원은 다이옥신과 중금속 등 유사독성 유해물질로 오염돼 있다”며 “공원 인근이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둘러싸여 있어 정화작업을 미루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부평구와 인천시는 문화재조사와 토양오염 정화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다각도로 노력해야 하고, 환경부와 문화재청도 오염문제 해결이 중앙정부의 책무임을 인식하고 직접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화재청은 부영공원 일대가 과거 일본군 조병창 기지로서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임이 확인돼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표조사를 실시했고 부영공원 내 유적이 확인될 가능성이 있어 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시굴조사는 오는 10월이나 마무리 될 예정이어서, 결과에 따라 정밀발굴조사가 실시되면 토양오염 정화작업은 상당기간 늦춰질 수 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