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도부는 17일 친일 역사관 논란에 발목이 잡힌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거취 문제를 놓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특히 여야 지도부는 문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개최 문제를 놓고 평행선을 달렸다.
새누리당은 문 후보자가 스스로 역사관에 문제가 없음을 해명하고 공식 사과한 만큼 인사청문회를 열어 국민이 판단할 기회를 주자고 강조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문 후보자가 친일·극우 사관을 드러냈다고 주장하며 지명 철회 또는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새누리당 이완구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야당의 문 후보자 사퇴 요구에 대해 “적정 여부를 가리는 법적 절차를 통해 국민적 판단을 구하는 것이 우리 국회의 책임이자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말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문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느냐는 이 정부가 상식의 길을 갈 것이냐, 아니면 비상식의 길을 갈 것이냐, 비상식의 통치를 할 것이냐의 가늠자가 될 것”이라며 사퇴를 거듭 촉구했다.
이러한 가운데 친박계 맏형격이자 유력 당권주자인 서청원(화성갑) 의원이 이날 사실상 문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서 문 후보자의 거취에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서 의원은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문 후보에 대한 제 말씀을 드리는 게 정치를 오래 해 왔던 사람으로서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닌가 생각한다”며 “문 후보자가 국민을 위한 길이 무엇인가 잘 판단해야 된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그러면서 “후보자에 대한 청문 절차를 거친 뒤에 국민과 그리고 의회에서 판단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최근 문 후보자 지명 이후 언행을 하나하나 보고 국민의 여론을 많이 경청한 결과, 지금은 문 후보 스스로 언행에 대한 국민의 뜻을 헤아리고 심각한 자기 성찰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이 친박 주류 측 당권 주자로 알려진데다 이전까지 문 후보자에 대해 긍정적 의견을 표명해왔다는 점에서 이날 발언은 여권 핵심부의 기류 변화를 뜻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