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8일 정치 및 외교·통일·안보 분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역사인식 논란을 빚는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놓고 치열한 공방전을 주고받았다.
새누리당은 인사청문회를 열어 국민에게 판단의 기회를 주자고 주장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문 후보자 총리지명을 ‘헌정 사상 최악의 인사’로 규정하고 임명 철회 및 자진사퇴를 강하게 주장했다.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은 이날 미리 배포한 자료에서 “문 후보자를 둘러싼 여러 문제제기는 법에 보장된 절차와 과정에서 철저히 규명하고 판단은 국민께서 하면 된다”며 “임명동의안을 제출도 하지 말라는 것은 법을 무시하고 국회의 책무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사청문회가 능력과 자질 검증보다는 도덕성을 명분으로 내세운 ‘신상털기식’으로 진행되면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며 현행 인사청문회 진행 방식에 대한 문제도 제기했다.
같은 당 이장우 의원은 “세월호 참사 이후 나라 전체가 망연자실한 채 비정상적 국정운영이 두 달째 계속되고 있다”면서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기보다는 정치권 모두의 책임을 통감하고 새로운 대한민국 디자인을 위한 발걸음을 재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지방정부 여야 ‘연정’ 움직임을 예로 들며 “국가개조는 화합의 인사시스템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며 “정부조직개편을 앞두고 화합형 모델, 즉 국민이 납득하고 이해하는 방안을 한 번쯤 고민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부천오정) 의원은 “안대희 후보자에 이어 문 후보자까지 그야말로 인사 참사를 지켜본 국민은 도대체 청와대 인사검증시스템이란 게 있기는 한 건지 한심해하고 있다”면서 정 총리에게 “마지막 소임이라 생각하고 충심으로 김기춘 실장의 해임을 건의하라”고 요청했다.
서영교 의원은 문 후보자 지명을 “제2의 경술국치”라고까지 표현하며 당사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서 의원은 “친일파 대통령에 친일파 총리 지명은 드러내놓고 친일파 내각을 세운 것으로 이는 제2의 경술국치에 다름없다”며 “문 후보자가 자진사퇴 의사가 없다면 정홍원 총리가 대통령께 임명 철회를 요청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의당 박원석 의원은 문 후보자 지명을 “헌정사상 최악의 인사”라며 “이 상황에서 청문회를 한다면 국민의 비판은 청와대와 대통령을 직접 향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