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세월호 침몰사고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23일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기관보고 일정을 논의했으나 여야 간 견해차만 재확인했다.
이로써 90일간의 활동기간으로 지난 2일 출발한 세월호국조특위는 이날까지 이렇다할 실적없이 활동기간의 25% 정도를 까먹은 상태다.
새누리당은 이날 회의에서 실종자 수색에 관여된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 해군 등의 기관보고는 세월호 희생자 가족 측 요구대로 다음달 1∼2일 받되, 여야 간사 간 합의대로 이달 26일부터 기타 기관들의 보고를 받자고 주장했다.
조원진 간사는 “여야 합의도 지키고 유가족이 원하는 수색 관련 기관보고 일정도 맞추는 방법이 있는데 야당이 왜 그걸 피하는가”라며 “수색과 관련된 3개 기관은 유가족이 원하는 날짜인 7월 1∼2일에 하고 나머지 19개 기관은 26일부터 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성동 의원도 “여야 간사끼리 합의한 게 이런 식으로 자꾸 무산되기 시작하면 위원회의 정상적인 운영이 어렵다”며 심재철 위원장에게 “하루속히 기관보고 일시를 잡아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야당 위원들은 충분한 예비조사가 이뤄지지 않은데다 가족 측이 이달 말까지는 실종자 수색에 집중해달라고 요청한 만큼 26일 실시는 불가하다고 맞섰다.
새정치연합 김현미 간사는 “가족 측이 26일 기관보고를 반대하는 이유는 실질적인 사전 예비조사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예비조사 전문위원들도 위원장이 국회의장에게 결재를 올리지 않아 현재 한 명도 임명되지 않은 상태”라고 비판했다.
현장조사 대상 기관도 합의하지 못한 여야는 조사 일정도 각자 계획하고 있어 특위 활동에 난항이 예상된다.
여당 위원은 오는 25일과 다음 달 2일 진도 사고현장 등을 들를 계획이지만, 야당 위원은 24∼25일 1박2일 일정으로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VTS) 등을 찾을 예정이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