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장소의 무료 무선인터넷존(공공 와이파이) 구축사업이 편중돼 있어 지역격차 해소를 위한 균등한 배분이 요구된다.
10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미래부(25%), 인천시(25%), 통신사업자(50%) 매칭사업으로 공공 와이파이(Wi-Fi) 구축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구축사업은 지역별로 통신사업자가 수익성이 적어 구축을 꺼리는 지역과 기존 구축된 지역을 개방하는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인천지역별 공공 와이파이 구축현황은 지난해말 기준으로 복지시설(35), 보건지소(16), 전통시장(10), 보건소(2) 등에 구축됐다.
올해는 복지시설 49개소, 보건소 25개소, 전통시장 16개소에 대해 구축하고 터미널 2곳은 기존 통신사업자가 구축한 시설을 개방토록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기초민원처리 기관인 주민센터 민원실에는 지난해 단 한 곳도 구축하지 않아 서민들의 정보통신 격차를 해소하자는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특히 시·도별 격차도 두드러지고 있어 계층별 격차해소와 함께 지역별 격차해소도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미방위 소속 문병호 의원(새정치연합 부평갑)은 “공공 와이파이 구축사업은 서민들의 정보통신 격차를 해소하자는 취지인 만큼 시·도별 및 지역별 격차에 대해 신중한 정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기준 시·도별 인구 10만명당 공공 와이파이 구축현황은 세종시가 60.8개로 1위며, 서울시는 2.5개로 17위, 인천시는 10.5개로 13위에 그쳤다.
/김상섭기자 k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