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4년만에 재개하려던 대북지원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도가 황폐화된 북한지역 산림회복을 위해 5억원 규모의 병충해 방제 약품 지원 제안을 북 측이 거부하고 나서서다.
20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산림 병해충 방제 약품·말라리아 방역 물품 지원, 개성 한옥 보존 사업 등을 중심으로 대북지원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예산도 50억원을 확보한 상태다.
통일부로부터 방제약품 대북 지원을 위한 동의를 받았고, 지난 18일쯤 개성으로 물자를 운송해 북측에 전달할 예정이었다.
지원물자는 솔잎혹파리 방제약품인 포스팜 2만8천800ℓ, 동력천공기 126개, 약제주입기 252개 등이다.
또 솔나방과 잣나무 넓적잎벌 방제용으로 클로르푸루아주론 유제 3천500ℓ, 연무소독기 35대, 확산제 5만2천500ℓ도 지원할 계획이었다.
25t 트럭 7대 분, 5억원 규모다.
전달은 통일부와 북한산림녹화사업을 추진 중인 민간단체 ‘겨레의 숲’을 통할 예정이었다.
‘겨레의 숲’은 북한과 지난 6월 개성에서 실무접촉을 갖고 7월부터 솔잎혹파리를 중심으로 산림병해충 방제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특히 2010년 천안함 폭침에 따른 5·24 대북제재 조치 이후 4년 만에 대북지원이 재개돼 의미가 컸다.
그러나 최근 북 측이 이를 거부하는 바람에 방제 약품을 전달하지 못했다. 구체적인 이유는 알 수 없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 때문에 말라리아 방역 물품 지원사업도 전망이 불투명해졌다.
▶2면에 계속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