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청문회 도입
경기도시공사 등 4곳
비공개로 도덕성 검증
정책 검증은 공개
■ 빨간버스 입석금지
전세버스 투입 미봉책
굿모닝 버스 도입해야
근본적인 문제 해결
이르면 다음달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장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실시된다.
청문회는 도덕성 검증은 비공개, 정책검증은 공개 형태의 이원화 방식이다.
또 남경필 도지사의 핵심 공약중 하나인 따복마을(따뜻하고 복된 마을)은 민간 주도로 실시되고, 굿모닝 버스는 민간자본 유치 가능성이 열린다.
남경필 도지사는 21일 본보와의 취임 인터뷰에서 “산하 공공기관장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도입하겠다고 밝혔고, 여야 연정 정책협의회 논의가 끝나고 나면 임명을 제청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연정 정책협의회에서) 인사청문회가 합의가 되면 제도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며 “도덕성 검증은 비공개로 하고 여길 통과한 사람만 공개적인 정책검증을 실시해야 한다. 8월중 도덕성 검증을 거쳐 9월 도의회가 열리면 공개적 정책검증을 할 생각이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남 지사는 예산규모 연 400억원 이상, 직원 수 100명이 넘는 경기도시공사, 경기신용보증재단,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경기문화재단 등 4곳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시행한 직행좌석형 광역버스의 입석 금지에 대해선 부정적인 시각을 비췄다.
남 지사는 “세월호 이후 안전이 최우선이란 국민적 합의가 있어 그 일환으로 직행좌석버스 입석금지 정책이 나온 것”이라면서 “하지만 준비가 부족하다 보니 안전과 시민편의라는 두 가치가 충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 대안책으로 핵심 공약중 하나인 굿모닝 버스를 제시했다.
그는 “전세버스 등을 특정시간에만 임시로 투입하는 것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 해답은 굿모닝 버스”라고 못 박은 뒤 “경기도 환승센터, 서울환승센터가 생기고 버스가 쉴 새 없이 다녀 ‘앉아서 안전하게 편하게 갈 수 있는 시스템’, 환승센터와 지선버스와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근본적인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도의 재정 확충 및 주요 공약 이행을 위한 예산 마련에 대해서는 “재정을 늘리는 것은 경제 활성화와 허리띠 조르는 방법 외에 왕도가 없다”고 소견을 밝힌 뒤 “따복마을은 관주도로는 실현이 어렵다는 판단이 서 민간주도로 할 생각이고, 굿모닝 버스 역시 민자 유치도 가능하다. 재정형편을 따져가며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정 정책협의회와 도 실무진간 소통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책방향 등은 양당 후보들이 이미 공약한 것이고 큰 컨센서스가 이뤄진 상태다. 또 큰 가닥인 따복마을과 빅파이프로젝트 등 이미 민간전문가와 도 공무원이 함께 추진단이 결성돼 있다. 소통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