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방선거와 재보선을 거치면서 경기지역 정치지형이 새누리당 쪽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의 박근혜 마케팅에 지역현안 등을 고려치 않은 공천파동, 심판보다 안정을 택한 민심을 읽지 못한 새정치민주연합의 오판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단 분석이다.
3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등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도내 5개 지역구 가운데 수원정(영통)을 제외한 4곳을 휩쓸었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은 도내 국회의원 수가 당초 21명에서 22명으로 늘었다.
재보선이 치뤄진 도내 5곳 가운데 당초 3곳은 새누리당, 2곳은 새정치연합이 차지했던 곳이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유정복 인천시장의 지방선거 출마 및 이재영 전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무효형을 받은 수원병과 김포, 평택을 지역은 새누리당, 김진표 전 의원의 지방선거 출마와 장용 전 의원의 선거법 위반으로 공석이된 수원병과 수원을은 새정치연합 확보했던 곳이다.
새누리당은 지난 6월4일 치뤄진 6회 지방선거에서도 5회 대비 3곳의 자치단체장 더 늘렸다.
당초 새정치연합이 차지하고 있던 안양과 평택, 파주, 용인을 빼앗고, 이천을 내줘 5회 때 10곳에 불과했던 자지단체장을 13곳으로 늘린 것.
새정치연합은 무소속 지역이었던 동두천과 새누리당이 차지했던 이천을 더했으나 4곳을 빼앗껴 당초 19곳에서 17곳으로 2곳이 줄었다.
이같은 현상은 광역의원 선거에서도 나타났다.
지방선거 결과 새누리당 소속 광역의원은 44명이 당선되고, 비례대표로 6명이 뽑혀 128석 가운데 총 50석을 차지했다. 5회 지방선거때는 42석에 비해 8석을 늘렸다.
새정치연합은 비례대표 6명을 포함, 총 78석을 가져갔다. 5회때 76석 대비 2석을 늘리는 데 그쳤다.
지역정가에서 안정적 국정 운영, 국정 동력 확보 등 박근혜 마케팅에 경제살리기를 더한 새누리당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반면, 정권 심판론을 내세운 새정치연합은 심판보다 안정, 지역일꾼을 원한 민심을 읽지 못한 채 정략공천 파동을 벌인 것이 민심을 잃은 원인으로 꼽혔다.
한 지역정가 관계자는 “최근 선거에서 보여준 민심은 새누리당이 잘해서라기 보단, 새정치연합에 대한 실망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라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