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황수신 일대기 담긴 도자 ‘청화백자묘지’ 최초 공개

道박물관 이달의 유물 선정
한국도자사 연구 가치 지녀

 

경기도박물관이 문화가 있는 날을 기념해 ‘이달의 유물’로 ‘황수신 청화백자묘지’를 최초로 공개, 오는 28일까지 2층 상설전시실 입구에서 특별 전시한다.

1467년(세조 13년)에 청화백자로 제조된 황수신(黃守身, 1407∼1467) 묘지(墓誌)는 지금까지 알려진 청화백자묘지 가운데 두 번째로 연대가 빠른 귀중한 유물로, 조선전기 제천의례(祭天儀禮)와 한국도자사 연구에서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갖는다.

황수신은 조선 초기에 명재상으로 알려진 황희(黃喜)의 아들로, 아버지에 이어 영의정이 됨으로써 장수 황 씨의 명성을 떨쳤다.

황수신의 자는 수효(秀孝, ‘세조실록’에는 季孝로 돼 있음), 호는 나부(懶夫, ‘세조실록’에는 懦夫)다. ‘나부’는 ‘청렴하고 지조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그는 열일곱 살 때 사마시(司馬試)를 보다가 시험감독관에게 욕을 당하고 분한 마음에 “백성에 은혜를 미치고 세상을 건짐이 과거라야만 한다더냐? 평생에 썩은 선비가 되기는 싫다”며 붓을 던지고 시험장을 나왔다고 한다.

묘지는 모두 4장으로 돼 있으며, 황수신의 생애는 1~3장에 실려 있고 마지막 한 장에는 아무런 내용이 없다. 원래 4장 정도의 분량을 계획하고 준비했지만, 작은 글씨로 쓰다 보니 3번째 장의 반 정도만 채우게 되자 그대로 마무리하고, 내용이 없는 마지막 장도 함께 구워 무덤에 묻은 것으로 추측된다.

묘지에는 대여섯 살 때 우물에 빠진 친구를 구한 아들을 보고 재상의 재목으로 생각했다는 아버지의 기억, 열 살 무렵 태조 이성계의 두 번째 왕후이자 세조의 할머니인 강씨(태종 이방원의 어머니)를 모신 흥천사(興天寺)에서 수양대군을 만나 훗날 크게 등용될 수 있었다는 이야기, 어머니 상을 당한 홍수신을 위문하기 위해 수양대군이 여러 차례에 걸쳐 상가를 직접 조문했다는 이야기 등이 실려 있다.

묘지명을 지은 사람은 세종의 처조카이자 문장가로 잘 알려진 강희맹(姜希孟, 1424∼1483)으로, 황수신과 친밀한 관계였던 강석덕(姜碩德, 1395∼1459)의 아들이자, 황수신의 아들인 황신의 처남이었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 유물은 조선 전기에 청화백자가 사용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 특히 분원 성립 초기의 백자 생산 양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설명했다.(문의: 031-288-5373)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