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가 펀드를 조성해 투자한 기업 가운데 20% 이상이 폐업이나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어 원금손실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에 투자된 금액은 150억원에 달한다.
13일 경기도의회 새정치민주연합 김영환(고양7) 의원에 따르면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는 현재 경기충남상생펀드2호, 경기창업보육펀드, 경기녹색성장펀드, 경기일자리창출펀드 등 4개 펀드를 조성해 운용했거나 운용중이다.
4개 펀드는 총 960억원 규모로 조성돼 45개사에 720억원이 투자됐다. 경기중기센터는 이들 펀드에 310억원을 출자했다.
2007년부터 내년 7월까지 운용되는 경기충남상생펀드2호는 경기중기센터와 충남TP가 각 50억원씩 출자하고 투자사들이 150억원을 출자해 모두 250억원 규모로 조성, 15개 기업에 투자됐다.
이 가운데 110억원을 도내 8개 중소기업에 투자했으나 4곳이 폐업했거나 법정관리를 받고 있다.
또 20억원이 투자된 서울기업 1곳도 2009년 11월 폐업했다.
이들 기업에 투자된 80억원의 투자금은 회수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특히 폐업이나 법정관리를 받고 있는 5개 기업 가운데 3곳은 투자 당시 매출이 ‘0’ 상태였다.
경기녹색성장펀드(2009년 10월~2016년 10월)는 310억원(중기센터 100억원) 규모로 조성, 17개사에 모두 투자됐다.
투자를 받은 17개 기업 가운데 1곳은 유동성 악화 등을 이유로 2012년 8월 폐업했고, 2곳은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다. 3개 기업에 투자된 금액은 49억9천만원이다.
지난해 9월 운용이 끝나 청산 절차가 진행중인 경기창업보육펀드(2006년 6월~2013년 9월)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100억원 규모로 조성돼 10곳에 투자했으나 2개 기업이 2011년 8월 잇따라 폐업해 투자금 20억원의 환수가 불투명한 상태다.
김영환 의원은 “중기센터가 투자한 기업 가운데 특히 도내 기업의 운용실적이 저조하다. 일부 기업은 매출실적이 없거나 사업성이 불투명했는데도 투자해 부실률을 높였다”며 “펀드 조성 취지에 맞게 성장 가능성 여부 등을 꼼꼼히 따져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기센터 관계자는 “투자 당시가 아닌 업체의 성장성과 기술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투자가 이뤄진 것”이라며 “폐업 등의 업체에 대한 투자금은 기업 대표 별도 자산 환수 등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접근해 환수조치 중”이라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