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고속철도와 경부선연결사업 등 경기지역 37개 철도사업이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포함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기춘(새정치연합·남양주을)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은 25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통일 대비 수도권 철도망 구축 방안’ 심포지움을 대표 주최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교통대학교 서광석 교수는 “지자체의 광역교통계획·도시철도망 계획 수립 후 국가계획에 반영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 교수는 수도권고속철도와 경부선연결사업(지제∼서정리 연결), 수도권고속철도 의정부 연장,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별내선 복선전철과 진접선 연결 등 경기도 철도사업별로 기대 효과와 검토 사항을 제시했다.
특히 국가철도망 구축을 위해 고속철도는 서비스권역 확대, 일반철도는 용량부족개선·시설개량, 광역철도는 지역적 연계를 고려한 개발 계획 수립이 각각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울과학기술대 김시곤 철도전문대학원장은 “수도권 철도망 확충을 위해 철도부문 투자규모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원장은 “복지 관련 예산이 연평균 5.1% 증가하는 반면 교통 SOC 관련 예산은 연평균 0.5% 감소하고 있다”며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의 경우 역세권 개발로 철도투자 비용을 일부 충당하는 등의 민간투자사업 활성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철도역 복합개발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법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도 이자리에 참석, 축사를 통해 “수도권 철도망 구축을 위한 도와 국회 간의 협조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경기북부 철도 인프라 구축에 관심을 보여달라”고 호소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