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9년 탄소선(炭素線) 전구를 완성시킨 에디슨은 당시로서는 꿈과 같은 '전세계에 전등'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었다.
이 꿈이 실현된 것은 교류전기 때문에 가능했고, 변압기나 송전의 방법의 개량 및 큰 발전기의 제작도 가능해졌다.
1892년에 세계 최초로 수력발전소가 2개소에서 가동됐다.
그중 하나는 웨스팅 하우스사가 건설한 미국 오레건주에 있는 폭포를 이용한 발전소이고, 다른 하나는 일본의 비파호(琵琶湖) 물을 이용한 교토 시영 발전소였다.
웨스팅 하우스의 발전소는 3천300볼트의 교류발전기로, 일본은 550볼트의 직류발전기로 시작했다.
수력발전소는 높은 곳의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를 이용해서 전기를 일으킨다.
즉 물이 떨어지는 힘으로 수차(水車)를 돌리면, 수차의 축에 붙어있는 발전기가 돌게 되어 전기가 발생하는 것이다.
수차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대부분의 발전소에서 물의 압력을 이용하는 프랜시스 수차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물의 낙차가 큰 곳에서는 분출시킨 물의 충동으로 회전시키는 펠톤 수차가 사용된다.
그밖에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방식의 카플란 수차나 프로펠러 수차 등도 사용된다.
우리 나라의 팔당수력발전소와 같이 흐르는 물의 양은 많으나 낙차가 적은 곳에는 발브(Bulb) 수차가 쓰인다.
<제공:한국전력공사 경기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