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도시철도 공사와 관련해 국내 굴지의 5개 업체가 담합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4일 김포시의회 김인수 의원(새누리)은 김포도시철도 5개 공구 참여, 건설 회사를 담합 의혹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예산절감과 공기단축 이유로 김포시도시철도자문위원회를 거쳐 김포시가 턴키방식으로 도시철도 공사를 발주해 불필요한 예산낭비와 부실시공 우려를 낳게 하고 있다”며 제소 이유를 밝혔다.
이어 “턴키방식은 시공사가 설계와 시공, 감리까지 하는 방식으로 다른 지자체의 경우 300억 원 이상 대형공사에 대해서는 부실시공 방지와 예산절감을 위해 턴키방식 대신 최저낙찰가를 선택하고 있다”면서 “최근 10년간 턴키방식 공사의 90% 이상에서 담합의혹이 제기됐다”고 주장했다.
담합에 대한 증거로 공구별 낙찰률을 제시한 김 의원은 “5개 공구 사업자로 대우건설, 한라건설, 대림산업, 현대산업개발, 한화건설 5개사가 선정됐는데 응찰에는 공구별로 2개 업체가 참여해 1공구 94.94%, 2공구 98.8%, 3공구 73.8%, 4공구 94.47% ,5공구 98.72%로 최저와 최고 낙찰 폭이 25%에 이른다”고 밝혔다.
그는 “이는 두 곳씩 짝을 이뤄 낙찰 받을 공사 구간을 미리 정해 놓고 한 곳은 들러리를 선 것으로 보인다”며 “5개 공구에 어떻게 정확하게 2개 업체씩 나누어 들어올 수 있었는지, 이는 사전 담합이 아니고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한강신도시 인수 등으로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 90% 이상으로 낙찰되는 불필요한 예산을 낭비하게 되는 턴키 입찰방식으로 철도사업을 진행해 시 재정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90% 이상으로 낙찰되는 턴키방식과 70%대에서 낙찰되는 최저입찰을 가정하면 도시철도 턴키방식 입찰로 복지나 기반시설 건설에 쓰여져야 할 3천억 원 정도의 예산을 낭비하게 됐다”며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를 통해 잘잘못을 분명히 밝혀 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포=천용남기자 cyn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