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164억원을 들여 390개의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육성한다.
이를 통해 2천200여개의 신규 일자리도 창출한다.
경기도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15 사회적경제 허브, 경기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64억원을 들여 사회적경제기업의 지속성장 지원 및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기본계획은 ▲지속성장을 위한 경영역량 및 자생력·경쟁력 강화 ▲수익·경영개선을 위한 매출확대시장 다변화 시책 강화 ▲통합서비스 지원체계 확대 및 인프라 확충 등의 개선방안을 담았다.
이를 실현키 위한 4대 추진전략과 20대 중점 추진과제도 마련됐다.
4대 추진전략은 ▲사회적경제 통합 지원체계 마련 ▲지속성장 기업육성 맞춤지원 ▲시장조성·판로 개척촉진 ▲거버넌스 및 네트워크 강화 등이다.
도는 이를 통해 390곳의 사회적경제기업을 발굴·육성하고, 2천200여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 3월 사회적경제기업의 육성과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를 설립, 판로개척과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가 추구하는 사회적경제는 시장경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 경제로 지속가능한 호혜 경제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사회적경제가 서민경제의 희망이 되고, 이를 통해 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회복을 구현키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오는 27일 도인재개발원 다산홀에서 시·군 담당공무원, 사회적경제 기업인 등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사회적경제 허브, 경기도 2015 추진사업 설명회’를 갖고 4대 추진전략 20대 중점과제의 세부사업 계획에 대한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