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이 세계적인 불황과 철강업계의 부진 속에서도 2014년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제철은 29일 여의도 하나대투증권에서 열린 2014년 경영실적 설명회에서 “2014년 매출액 16조329억원, 영업이익 1조4천400억원, EBITDA 2조6천53억원, 당기순이익 7천51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적은 고로 3기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냉연사업 합병을 통해 고부가가치 철강재 중심으로 제품구성을 다각화한 결과, 제품생산량은 전년 대비 20.1% 증가한 1천910만t을,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량도 전년 대비 29.7% 증가한 822만t을 기록해 수익성이 향상됐다는 게 현대제철의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현대제철은 중국산 철강재 수입증가와 국·내외의 수요산업 부진 등의 어려운 경영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고정비를 절감하고 설비 및 에너지 효율을 개선해 5천372억원의 원가절감을 달성했다.
또 냉연부문 합병에 따른 생산 및 품질 통합관리로 원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1천609억원의 합병시너지 효과를 이뤄냈다.
특히 2013년 3고로 완공으로 대규모 투자가 마무리됨에 따라 2013년 12조7천4억원에 달하던 차입금을 11조9천884억원으로 줄여, 2013년 120.1% 수준이던 부채비율을 108.8%로 11.3%p 낮추는 등 재무구조 개선에서는 괄목한만한 성과지표가 나타났다.
현재 현대제철은 자동차 소재 전문 제철소 완성을 위한 설비투자도 진행 중이다.
지난해 착공한 연산 100만t 규모의 특수강 공장은 1월25일 기준 40.8%의 공정률을 기록하며 2016년 2월 양산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현대제철은 현대자동차 그룹 컨소시엄이 인수 예정인 동부특수강과 소재 개발 시너지를 극대화해 특수강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자동차 강판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당진 2냉연공장에 증설 중인 연산 50만t 규모의 #2CGL(용용아연도금) 설비라인도 1월25일 기준 21.5%의 공정률을 기록하며 2016년 2월 제품양산을 준비 중이다.
이 밖에도 고부가 제품 생산을 위한 연구개발에도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