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총체적 안전점검’에 대한 후속조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신학용 국회의원(인천 계양갑)은 지난 2일 “인천시의 ‘총체적 안전점검 지적사항 및 조치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157건의 지적사항 중 50건(32%)이 조치시한을 어겼다”고 비판했다.
지적사항은 각각 지난해 8월 말부터 12월 말까지 조치완료하기로 계획돼 있었다.
‘총체적 안전점검 지적사항 및 조치실적’은 세월호 참사 이후 지난해 4월30일부터 5월12일까지 13일간, 광역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 직접점검, 공사·공단·민간이 합동으로 인천시 주요시설 전반에 대해 점검을 실시한 것이다.
하지만 지난해 마무리돼야할 지적사항들이 후속조치가 진행되지 않아 “시가 시민들의 안전은 뒷전”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지적사항 중 지난해까지 마무리해야 할 안전조치 사항은 ▲인천시청 옹벽 ▲송도컨벤시아 ▲임학지하차도 ▲계양지하차도 ▲송월시장 ▲한국이민사박물관 ▲연안부두해양광장 ▲동구 청소년수련관 ▲주안근린공원 ▲영흥대교 ▲선재대교 ▲영흥리조트 ▲송도LNG종합스포츠타운 등이지만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인천시의 입장은 사실상 예산부족이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시 조치실적 자료를 보면 2015년도 예산반영, 추후 예산반영 예정 등 ‘진행 중’이다.
신학용 의원은 “시민안전과 관련된 사안임에도 현재까지 조치되지 않는 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시는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안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