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공공아이핀 가입자는 오는 5월 1일을 기준으로 전원 본인인증을 거쳐 재발급을 받아야 하고, 재발급 후 매년 갱신해야 한다.
또 공공아이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웹사이트는 원칙적으로 회원가입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지침이 바뀐다.
행정자치부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공공아이핀 부정발급 재발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달 28일부터 사흘간 발생한 공공아이핀 시스템 해킹 및 대량 부정발급 사고 이후 행자부가 구성한 민관합동 ‘공공아이핀 부정발급 대책수립 태스크포스’에서 원인 검토를 거쳐 마련된 것이다.
정부는 우선 현재 공공아이핀 시스템에 민간 아이핀의 해킹방지 기능을 적용하고 2차 패스워드 같은 추가 인증수단을 도입하기로 했다.
부정 발급을 시도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IP는 접속 즉시 차단되도록 보안을 강화한다.
도입한 지 7년이 지난 노후장비는 교체하는 한편, 보안전문업체에 의뢰해 공공아이핀의 업무처리절차, 시스템 구조·성능, 관리·운영 등 시스템 전반의 문제점을 종합 검토한 후 시큐어코딩과 부정사용방지시스템(FDS) 같은 보안기술을 도입하게 된다.
행자부는 또 기존에 발급된 공공아이핀 전체를 대상으로 오는 5월 1일자로 본인인증을 거쳐 재발급을 받게 할 방침이다.
기존 아이디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패스워드는 반드시 변경해야 하며 공공아이핀에 유효기간이 도입돼 1년마다 재발급을 받아야 한다.
이와 함께 행자부는 공공기관 웹사이트는 원칙적으로 회원가입을 없애고 본인확인이 꼭 필요한 서비스에만 공공아이핀이 쓰이도록 관련 지침을 개정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