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문제 해결 긍정적 영향
사교육비 절감 등 만족도 높아
국회도 폭력예방교육 실시 건의
정부와 새누리당은 9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어 ‘아이돌봄 서비스’의 지원 시간을 현행 480시간에서 720시간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이돌봄 서비스는 12세 이하 아동을 둔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아동 귀가시간에 맞춰 ‘아이 돌보미’가 집을 방문, 부모의 퇴근시간까지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다.
당정은 아이돌봄 서비스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아동의 귀가시간과 부모의 퇴근시간 사이의 공백을 메워 사교육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판단, 지원 시간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 서비스는 올해 예산이 깎이면서 정부 지원 이용 시간이 기존의 연간 720시간에서 480시간으로 줄었으나, 이를 원래 상태로 늘리자는 것이다.
한 회의 참석자는 “아이돌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수요도 매우 많은데 예산이 적어 아이들이 혜택을 못 받는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아이돌봄 서비스의 예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류성걸 의원,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명연 의원이 참석했다. 정부 측에선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이 참석했다.
당정은 또 폭력 예방교육을 국회에 대해서도 실시하는 방안을 당 정책위원회에 건의하기로 했다.
류지영 당 여성가족정책조정위원장은 “폭력 예방교육이 공공기관에 의무화됐는데도 국회만 예외로 취급되고 있다”며 “국회 차원의 폭력 근절 의지를 밝히고자 국회의원, 보좌 직원, 사무처 직원에게 예방교육을 할 것을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