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로 정국이 요동치는 가운데, 경기지역 건설업체들도 대규모 피해를 호소하며 몸살을 앓고 있다.
故 성완종 전 의원이 회장으로 있던 경남기업이 부도처리되면서 협력업체의 공사비 지급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2~3개월의 승계 시공사 선정기간까지 고려하면 공사대금 및 입주 지연에 따른 피해는 더 확산될 전망이다.
21일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에 접수된 경남기업 기업회생 관련 피해규모는 26개 사 76억406만여원에 이른다.
이들은 경남기업 또는 그의 자회사인 대아건설이 맡은 각종 공사의 하도급을 맡은 도내 건설업체들이다.
도로, 교량, 학교·아파트 건축 등 공사도 다양하고, 업체당 피해액도 수십억에서 수백만원까지 천차만별이다.
부문별로는 학교·병원의 신축 및 이전 공사가 7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파트 공사 5곳, 도로공사 4곳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교량, 기업 부대시설, 농촌용수개발, 군부대 병영생활관 등 하도급 업체 수도 다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평택 생산기지에서 기화송출설비기계 등 공사를 맡은 A업체는 경남기업 도산으로 17억여원을 피해봤다고 신고했다.
또 동탄2신도시 아파트의 PL창호공사를 맡은 B업체는 피해규모가 모두 7억3천여만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지방 소재 한 대학교의 학생 생활관 신축공사를 맡은 C업체도 협회 측에 6억7천여만원의 피해내역을 신고했다.
이들 업체의 경영규모가 대부분 영세한 점을 감안하면 이번 사태로 재기불능에 빠질 수도 있다고 업계는 내다봤다.
또 대규모 공사중단 사태로 이어질 경우 지역 건설경기 전반에 침체를 가져와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 7일부터 인천공항공사 제2청사 협력업체들은 경남기업의 공사대금 지연으로 공사장비 가동을 멈춘 상태다.
경남 거제시 경남아너스빌 아파트 공사도 같은 이유로 지나달 28일부터 중단돼 현재 공정률 72%에 머문채 공사현장은 텅 비어 있다.
김선명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 사무처장은 “경남기업의 하도급을 맡은 도내 건설업체의 현재 피해규모는 76억 정도지만, 경영규모가 영세한 업체가 대부분이어서 실제 피해는 드러난 수치 이상일 것”이라며 “총리 사퇴까지 겹치면서 정국이 혼란을 거듭할 경우 경제정책 수립방향도 어수선해져 지역 건설경기에 악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