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학에 수시 전형으로 합격한 A양이 자신도 모르게 합격 취소가 된 일이 발생했다. 경찰 수사 결과 합격 취소는 A양의 지인인 B양의 소행으로 밝혀졌다.
둘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친구가 됐다. 서로 만난 적은 없지만 틈틈이 SNS를 통해 연락을 이어갔다. 그러던 중 B양은 자신이 지원했다가 낙방한 대학에 A양이 수시로 합격한 사실을 알게 됐다. A양이 SNS에 그 사실을 알렸기 때문이다.
재수를 하던 B양은 A양의 합격 소식을 듣고 자신의 처지를 비관했다. 결국 질투심에 사로잡힌 B양은 A양의 개인 정보를 수집해 학교 홈페이지에 접속해 합격을 취소시켰다.
‘질투의 민낯’은 질투심을 통해 드러난 우리 안의 숨겨진 욕망을 담고 있다. 질투를 둘러싼 부정적인 이미지를 한 겹 걷어낸다. 그러면서 우리가 질투를 통해 보아야 할 것들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한다.
저자는 질투에 대한 사람들의 보편적인 인식과 정의, 고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질투에 관한 학설과 속설 등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 질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질투와 관련된 해묵었던 오해와 진실을 밝힌다.
일반적으로 질투에는 열등감이 내재돼 있다. 질투를 인정하는 순간, 열등감 혹은 패배를 받아들여야 한다. 때문에 사람들은 질투심이 들면 애써 누르거나 외면한다. 상대를 깎아내리거나 비아냥거리면서 질투심을 감춘다.
다른 사람의 눈부신 성취를 목격했을 때 부러움과 시기하는 마음이 드는 것은 사람이라면 당연하다. 질투를 단순히 불편한 마음을 들게 하는 감정으로 여겨 무시하면 더 큰 화를 부른다.
저자는 질투심 안에 우리의 ‘욕망’이 투사돼 있다고 주장한다. 질투에는 ‘검은 질투’와 ‘하얀 질투’가 있다고 한다.
전자의 경우는 파괴적인 에너지가 상당하다. 질투의 대상을 깎아내리고 자신이 갖지 못하는 것은 남도 갖지 못하게 만든다.
후자는 자기 계발과 긍정의 에너지로 작용한다. 동기 부여의 형태로 삶에 지속적인 영향을 준다. 질투를 긍정적인 힘으로 사용하는 원리도 여기에 있다.
사람들은 원하는 것을 갖지 못해서가 아니라 진정으로 갖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몰라 질투한다. 자기 안의 절실한 욕망이 없을 때, 남의 욕망에 따른 삶을 살 수밖에 없다.
저자는 날씬한 몸매, 호감 가는 외모, 좋은 학벌, 고액의 연봉 등이 개인의 욕망이 아닌 한 사회에서 통용되는 가치이자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 기준이 비교를 만들고 사람들에게 일정 수준에 다다르고자 끊임없이 무언가를 하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