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교육포럼 개막일인 19일 시민단체들은 “정부는 한국교육에 대해 자화자찬 할 게 아니라, 세계교육포럼의 의제인 ‘모두를 위한 교육’ 실현을 위해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교육운동연대 등 시민단체 회원 30여명은 이날 행사장인 송도컨벤시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내 교육문제를 지적했다.
이들은 “현재 한국 교육은 교사, 교직원, 학생 모두를 불행하게 하고 있다”며 “입시경쟁, 과도한 사교육, 부당한 규제야말로 한국교육의 현 실태”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입시경쟁교육 중단, 과도한 학습시간 규제, 취업률 기준의 학교평가제 등 13가지 국내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한 뒤 학생 등이 이 문제들로 고통받고 있다는 내용의 퍼포먼스를 벌였다.
또 국제개발협력민간시민사회포럼 등 7개 시민·아동구호단체들도 비슷한 시각 같은 장소에서 분쟁과 자연재해로 어려움을 겪는 국가들의 아이들에 대한 지원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10여분간 벌였다.
시민사회포럼 관계자는 “교육은 인간의 기본적 권리이고 교육의 기회는 누구나 공평하게 누릴 수 있어야 한다”며 “그러나 자연재해 등으로 빈곤을 겪는 국가의 아이들에 대한 교육은 충분히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교육포럼에 참가하는 정부 등 관계자들이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의 실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네스코가 주최하는 이번 세계교육포럼은 교육분야 최대의 국제회의로 앞으로 15년 동안 세계 교육의 발전 목표를 설정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