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부드러운 승계과정에 접어들었다고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삼성: 부드러운 승계’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지난 15일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문화재단 이사장에 선임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8년 전 이건희 회장 당시보다 더 어려운 과제를 떠안았지만 각광을 받는 길로 들어섰다고 진단했다.
1987년 고(故) 이병철 창업주 별세 이후 2주 만에 그룹을 승계받은 이건희 회장은 당시로선 어중간한 규모였던 한국의 재벌을 IBM이나 GE 같은 거인으로 키우겠다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했고, 그 결과 1993년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내놓은 것이라고 이 잡지는 평가했다.
거의 30년 후 세계 최대 전자 메이커로 커진 삼성은 ‘거상(巨像)의 왕조승계 과정 한가운데에 놓여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풀이했다.
이 부회장이 사회공헌·문화예술지원 목적의 재단 이사장으로서 오너 일가의 공식적 얼굴이 된 것은 그의 이미지를 더 부드럽고 사색적인(reflective) 리더로 만드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봤다.
재단 이사장직 선임이 기업 승계를 위한 최종 단계 중의 하나로 받아들여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부회장이 수개월 내에 삼성전자의 리더십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부회장이 균형을 잡아야 할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경쟁과 협력,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삼성의 한국적 뿌리와 글로벌한 미래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