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종교가 왜 길에서 생겨났을까 우리 인생은 왜 길에 비유될까

한국의 절들을 찾아가는 얘기 담은 에세이집
7년 700여곳 절 탐방하며 떠오른 생각 적어

 

한국의 절들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집.

제주도의 올레길이나 스페인의 산티아고 순례길보다 더 오래되고 더 깊은 명상을 제공하는 길들이 우리 주변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문득 깨달은 저자는 ‘저 절로 가는 길’을 찾아 도반(道伴)들을 모아 길을 나선다.

도반들이 모이는 이름은 ‘서울불교산악회’와 ‘저절로가는길’. 사람들이 ‘저 절로 가는’ 목적이 절에 도착해서가 아니라 ‘그 길을 가는 동안 저절로 해결되면 더 좋지 않겠는가’하는 생각을 하면서 걷기 모임의 이름을 ‘저절로가는길’로 지었다.

그러기를 7년, 700여 곳의 절을 탐방, 순례, 참배하면서 떠오른 생각을 적은 글들 중 일부를 이 책에 담았다.

이 책에는 36개의 절에 가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 책에서 저자가 찾아가는 절들은 서울과 수도권, 전남, 경남, 강원까지 골고루 아우르고 있지만, 어떤 기준에 의해 선택됐는지 알 수 없다.

조계사, 봉원사, 상원사 등 누구나 아는 유명한 절도 포함돼 있긴 하지만, 이 책에서 저자가 찾아가는 대부분의 절들은 금선사, 일락사, 불갑사처럼 특별히 기도처를 찾아다니는 신심깊은 불자들이나 부근에 사는 주민이 아니면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다.

자신이 불자이고 절에 도착하면 도반들의 법회를 인도하기도 하지만, 저자는 이 책의 범위를 불교 이야기에 한정짓지 않는다. 저 절로 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리고 함께 느껴주고 그들의 소원을 이루고 고민을 해결하는 데 힘을 보태준다고 생각되면 이야기의 소재가 불교나 부처가 아니라고 망설이지 않는다.

대문이 닫힌 성벽을 날개 달린 말을 타고 뛰어넘는 출가에서부터 불붙지 않던 장작이 마하가섭에서 관 속에 있던 부처가 발을 내밀어 보여 준 뒤에야 활활 타오른 다비에 이르기까지 부처의 일대기와 사상이 띄엄 띄엄 나타나고, 경허 아래서 함께 공부하던 수월과 만공의 일화, 그리고 법정스님의 맏상좌였던 덕조스님의 근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불교 이야기가 등장한다.

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어느 날 소수서원을 나와 국망봉 아래에 있는 석륜사를 찾아가서 소백산을 샅샅이 유람할 요량으로 거기서 사흘을 머물렀던 퇴계 같은 유학자와 18년의 유배생활을 마치고 북한강변의 본가로 돌아와 어릴 때 오르 내리던 운길산을 바라보며 늙어 기력없음을 슬퍼하는 시를 지었던 다산 정약용, 1890년에 깎아지는 벼랑길로 북한산 중흥사를 찾아갔던 기록을 남겼던 영국 여행가 아놀드 새비지 랜도어, 다산 유배길 중 ‘뿌리의 길’을 시를 지어 찬탄한 정호승 시인까지 종교와 시대를 뛰어 넘는 수 많은 사람들이 ‘저 절로 가는 길’을 걷는 저자의 머리 속에 동행한다.

책에는 저자가 찍은 사진들이 가끔씩 등장해 저 절로 가는 길의 풍광을 그려보려는 독자들의 상상력에 힘을 보태준다.

때때로 저자의 순례길에 동행했던 산악인 엄홍길이 책의 추천사를 썼다.

“고원영 작가의 글을 읽으니 작년에 안데스 산맥을 종주하면서 잉카 문명의 발원지를 돌아봤을 때의 기억이 새롭다. (중략) 인생이 왜 길에 비유되는지, 종교가 왜 길에서 생겨나는지 알 것도 같았다. 잉카문명은 남미의 오랜 신앙이 바탕했으므로 불자인 내게는 자연스레 1천6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우리 불교가 떠올랐다. 우리나라 어느 산에 가도 절이 있고, 절로 가는 길이 있으니, 그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있지 않겠는가.”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