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투자로 3천억원대의 부채를 떠안고 있는 화성도시공사의 경영정상화 방안으로 경기도시공사와 공동으로 시행한 전곡해양일반산업단지의 투자비율 재조정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새정치민주연합 화성갑 지역위원회가 지난달 29일 지역위원회 관계자들과 가진 화성도시공사 경영정상화 대책회의에서 나온 의견으로 이를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 투자비율 재조정을 관철해내겠다고 나서 그 결과가 주목된다.
오일용 위원장은 “현재 전곡해양산단은 금융부채와 유동성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결국 화성시민이 고스란히 부담을 떠안게 되므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대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전곡해양산단은 2008년 당시 부족한 사업성이 예상됐지만 경기도의 정책 사업으로 추진돼 같은 해 11월 화성도시공사는 사업자금 조달능력을 고려해 30%의 지분참여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다음달 열린 해양복합산업단지 조성 현안회의에서 경기도시공사의 자금부족을 이유로 해양산업단지 조성에 소요되는 사업비 5천370억원 가운데 화성도시공사가 65%(3천491억 원), 경기도시공사가 35%(1천879억 원)로 나눠 분담하기로 합의가 됐다.
162만㎡ 규모의 전곡해양산단은 2013년 말까지 보트ㆍ요트의 제조ㆍ수리ㆍ판매ㆍR&D 기능을 갖춘 국내 최초 해양산단으로 조성이 끝났지만, 부동산 시장 위축 등으로 아직까지 분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장기간 미분양 물량이 많아지면서 재정압박을 받아 현재 화성도시공사의 총 부채가 2천939억 원에 달하고 있으며 이중 68%인 2천6억원이 전곡해양산단 조성사업단 부채로 매달 막대한 비용을 금융비용으로 지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일용 위원장은 “당초 화성도시공사는 30%의 참여만을 원했고 해당 사업이 경기도시공사의 정책사업이였던 만큼 지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화성도시공사 30%, 경기도시공사 70%로 지분참여율이 재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양 도시공사의 사업협약서에도 상호 협의에 의한 투자비율 조정이 명시돼 있어 가능한 일”이라며 “평택의 황해포승단지나 평택국제신도시 등 다른 사업 단지들은 기초자치단체의 투자비율이 최소 5%에서 20% 정도로 매우 낮은 사례들이 있다”고 투자비율 재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화성=최순철기자 so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