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경기연, 농촌공동체 통합지원체계 필요

15년새 20%p 이상 감소

도시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 비중이 최근 15년 사이 20%p 이상 감소하고 농촌인구 비중도 10%대 미만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 이수행 연구위원은 3일 이같은 내용의 ‘농촌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 비중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83.6%에서 지난해 61.5%로 22.1%p 줄었다.

또 농촌인구가 우리나라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98년 13.6%에서 2013년 9.6%로 감소했다.

이 기간 농촌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9.6%에서 37.3%로 급증했다.

도시 위주의 성장이 지속되면서 도농간 격차 및 농촌 고령화가 더 가속되고 있는 셈이다.

그나마 최근 귀농·귀촌 인구가 2010년 4천여가구에서 2013년 3만2천여가구로 증가, 농촌기능 회복의 기대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이수행 연구위원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농업R&D기관, 기업이 참여한 농촌공동체 중심의 상생협력 체계 구축,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지원체계 마련, 공동체 간 연대를 통한 통합지원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도시·농촌 간 수요를 상호 충족시키는 도농 공동체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은 “농촌공동체 플랫폼을 구축해 농민들의 다양한 아이디어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며 “농촌공동체 DB구축을 통한 통합지원체계 마련, 농촌공동체 지원 플랫폼 구축, 농촌공동체의 질적 전환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