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도교육청이 교육협력사업을 공동 추진키로 하는 등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민선 4·5기 8년간 반목을 거듭하던 양기관이 협력모드로 전환한 것으로 남경필 지사가 추진하는 ‘교육연정(聯政)’이 가시화 되고 있다는 평가다.
남 지사와 이재정 교육감, 박수영 도행정1부지사, 김원찬 제1부교육감은 25일 도지사 집무실에서 ‘2+2 협의회’를 갖고 원활한 교육협력사업 추진에 힘을 모으기로 의견을 같이 했다.
남 지사는 이 자리에서 “오늘 2+2 협의회를 시작으로 앞으로 도와 교육청이 형제처럼, 부부처럼, 한 몸처럼 합심해 학생과 학부모를 위해 노력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이 교육감은 “학교를 지원하고 학생을 행복하게 하는 것은 미래를 위한 투자”라며 “이를 위해 교육과 행정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2+2 협의회는 굉장한 의미가 있다. 힘을 모아 함께 미래를 만들자”고 화답했다.
이날 회의에서 도와 교육청은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초등학교 노후화장실 개선과 꿈의 교실 운영 등 교육협력사업을 공동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또 2+2 협의회를 정기적으로 열기로 했다.
꿈의 교실을 대표로 하는 교육협력사업을 도와 도교육청이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하는 데에는 6개월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꿈의 교실은 남 지사가 지난해 12월18일 경기사학포럼에서 교육과 행정의 연정을 강조하면서 밝힌 조기등교생 교육지원방안으로 불가피하게 일찍 등교하는 학생들을 위해 체육이나 독서프로그램을 만들어 학부모나 공무원 임용대기자의 재능기부로 창의력교육을 하자는 구상이다.
하지만 이 교육감이 추진한 ‘9시 등교’의 근본취지를 훼손한다는 도교육청이 반대에 부딪혔다.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 남 지사는 지난 23일 도교육청을 찾아 이 교육감과 30여분간 배석자 없이 두 기관의 협력 과제들에 대해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도 지사가 교육청을 방문한 것은 손학규 지사 이후 10년 만이라는 게 도교육청의 설명이다.
앞서 도와 도교육청은 민선 4·5기 8년간 학교용지부담금 지급, 무상급식비 지원 등을 놓고 갈등을 지속했었다.
남 지사와 이 교육감은 오는 30일 오전 10시 도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도와 교육청 간 구체적인 교육협력사업 추진 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