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추진하는 ‘KTX 수원역 출발’ 사업이 경제성이 있다는 용역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이르면 내년 상반기 착공될 전망이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추진중인 ‘수원·인천 고속철도 효율화 방안 연구용역’ 분석결과 ‘KTX 수원역 출발’ 사업의 B/C(비용편익분석)이 1.42인 것으로 조사됐다.
B/C가 1 이상이면 경제성이 있다는, 그 이하면 반대 의미다.
총 사업비는 2천871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으며 1일 왕복 34회 운행시 이용객은 2020년 기준 하루 1만5천872명으로 예측됐다.
KTX 수원역 출발 사업은 경부선 일반철도 노선과 2016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중인 수서∼평택간 KTX 전용 고속철도 노선(4.6㎞)을 연결하는 사업이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주요 공약 사업이기도 하다.
남 지사는 국회의원이었던 2012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했으며 경기도지사 당선이후에도 역점사업으로 내걸었다.
이 두 노선이 연결되면 수원역을 출발한 KTX 열차는 KTX 전용 노선을 타고 대전까지 달릴 수 있어 수원∼대전 구간 이용시간이 기존 67분에서 23분이 단축된다.
현재는 수원 시민들이 KTX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울역을 출발해 수원역을 경유하는 열차를 타야 한다.
이 노선의 KTX는 하루 상·하행 4차례씩 운행하지만, 대전까지 KTX 전용 노선이 아닌 일반 경부선 철로를 이용해 속도가 느리다.
KTX 열차가 수원에서 출발하게 되면 수원에서 광주송정 구간도 이용시간이 195분에서 83분으로 단축된다.
연결선을 타고 곧바로 오송까지 KTX 고속철도로 이동한 뒤 오송에서 새로 개통한 호남고속철도를 타고 공주∼익산∼정읍을 거쳐 광주송정까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수원에서 광주송정을 가려면 새마을호를 타고 익산까지 간 뒤 익산에서 광주고속철도로 환승해야 한다.
도는 이번 용역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도권고속철도(수서~평택) 사업이 올 하반기 설계에 들어가 내년 상반기에 착공, 2018년에는 완공할 수 있도록 국토부와 기재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할 계획이다.
서상교 도 철도국장은 “‘KTX 수원역 출발’은 전 국토의 반나절 생활권 제공을 위해 시급한 사업”이라며 “2016년 조기 착공을 위해 국회, 중앙부처 등과 협조를 요청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