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논란이 된 아파트단지 내부 택배차량 진입을 거부와 관련해 국토부가 ‘공동 거점형 택배시스템’ 도입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택배 이용자와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면서 가중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동 거점형 택배시스템’ 도입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기본 형태는 국내 17개 택배사들이 지정된 ‘배송거점’까지 물건을 운반하고 거점부터 각 개인으로의 배달은 1개 택배사에 맡기거나, 마을 노인·이장 등 해당 지역 인력을 활용하는 것이다. 국토부는 아파트·오피스텔 밀집지역과 도서·산간지역 등 배달 지역별로 구분해 맞춤형 시스템을 시범 추진한다.
국토부는 영구임대주택 단지 내 장기 미임대 상가나 커뮤니티시설 등에서 유휴공간을 마련해 공동택배 보관소를 마련하고, 기존 실버택배와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CJ대한통운은 택배차량이 배송거점으로 화물을 실어오면 노인 배송원이 이를 세대별로 분류해 배달하는 실버택배 사업을 작년부터 시작해 내년까지 고령자 일자리 1천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토부는 CJ대한통운 뿐만 아니라 다른 택배사들의 화물도 공동 보관소로 모아 노인인력 등 지역주민을 택배 보관·관리·배송원으로 최대한 활용하고, 복지부의 노인지원 예산도 투입한다는 구상이다. 국토부는 기존 아파트 단지에서 유휴공간을 찾을 수 없다면 컨테이너박스 등을 활용토록 하고, 장기적으로는 아파트 건축시 공동택배 보관소를 마련하도록 주택건설기준에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한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