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수원시가 ‘오원춘 사건’이 발생했던 수원시 지동을 가장 안전한 마을로 탈바꿈 시킨다.
이를 위해 지동을 ‘따복 안전마을’로 지정하고, 2017년까지 주민 주도의 공동체 마을로 조성한다.
경기도는 25일 이 같은 내용의 ‘수원 지동 따복안전마을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안전하고 따뜻하며 활력이 넘치는 마을’을 목표로 오는 2017년 2월까지 3단계에 걸쳐 지동에 주민 주도 방식의 공동체 마을을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도와 시는 1단계로 올해 말까지 주민의견 수렴과 지역주민 조직 및 리더 발굴, 지역상황 분석 등을 통해 기본구상을 만든다.
이어 내년 7월까지 세부 지역계획과 수준·단계별 사업 추진계획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작성한다.
이를 통해 마련된 종합 마스터플랜을 바탕으로 내년 10월까지 지역 주민이 동의·합의하고 서약하는 주민협정을 체결, 시행에 들어간다.
이를 위해 도는 오는 이달말 도시계획 전문가인 배기택 박사를 전체 사업의 총괄계획가(MP·Master Planner)로 임명하고 주민대표와 전문가, 도와 시 관련부서가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성한다.
도시안전, 역사, 문화·예술, 복지, 도시재생, 다문화, 사회적경제, 셉테드(범죄예방환경설계) 등 8배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단도 구성한다.
가장 핵심인 안전마을 조성을 위해 빅데이터를 반영한 CCTV를 설치하고,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을 적용한다.
도는 시·군과의 연정협력사례로 만들고자 지역종합계획 수립 모든 과정을 수원시와 논의·공유하고 결정하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도는 올해 말까지 1단계 사업에 5천만원의 도비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기우 도사회통합부지사는 “지동마을은 도의 따복공동체 정신에 따라 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주민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것”이라며 “지동 모델이 다른 지역의 모범이 되는 스탠더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