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체육회, 경기도생활체육회가 체육단체 통합을 위한 통합추진위원회(이하 통추위)를 구성키로 한 가운데(본보 9월 8일자 1면) 도생활체육회 이사회에서 앞으로 설립될 통합체육회 회장을 당연직이 아닌 민간인 선출직이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통추위가 구성되기 전부터 밥그릇 싸움이 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기도생활체육회는 8일 경기도체육회관 대회의실에서 제5차 이사회와 대의원총회를 잇따라 열고 도체육회와 도생활체육회 통합을 위한 통합추진위원회 구성을 보고했다.
보고 내용은 전날 도체육회가 이사회와 대의원총회를 열고 보고한 것과 같은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몇몇 참석자들은 “엘리트체육은 시·도지사나, 시장·군수가 당연직으로 회장을 맡고 있지만 시·군생활체육회와 종목별연합회는 민간인이 회장을 맡아 봉사하고 있다”며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 회장이 선출직인데 체육단체 통합으로 새로 구성되는 통합체육회장은 도단위는 물론 시·군단위도 당연직이 아닌 민간인 선출직이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일각에서 통합체육회장을 선출을 통해 민간인이 맡을 경우 도나 시·군에서 체육예산을 줄일 것이라는 의견이 있는데 선거를 생각한다면 지방자치단체장이 체육예산을 줄일 순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강병국 도생활체육회장은 “국민생활체육회에서는 체육단체 통합을 준비하면서 통합체육회의 장은 당연직이 아니라 선출직으로 뽑는 안을 준비해왔다”고 설명했다.
도생활체육회 이사회와 대의원총회에서 이같은 주장이 제기되면서 통추위가 구성되기도 전에 자치단체장을 당연직 회장으로 하려는 엘리트체육 쪽과 갈등이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날 회의소식을 전해들은 한 체육원로는 “지방 엘리트체육은 예산 전액을 지방자치단체에서 부담하는데 생활체육 쪽 주장대로 단체장이 아닌 민간인 선출직이 회장을 맡는다면 지방자치단체에서 예산을 부담할 이유가 있겠냐”며 “통추위가 구성된 뒤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를 미리 제기한 의도가 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도체육회와 도생활체육회 이사회 및 대의원총회에서는 경기도가 통합작업을 너무 서두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복수의 참석자들은 “경기도와 도체육회, 도생활체육회가 선도적으로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 통추위를 구성하겠다는 뜻은 알겠지만 통추위 구성을 어떤 인물로 할 건지 통합 절차를 언제까지 마무리 할 지 등 구체적인 내용이 전혀 없다”면서 “이사회와 대의원총회의 보고 내용이 겉 포장만 보여준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정민수기자 jm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