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아파트 입주민을 대신해 아파트 하자를 찾아내는 공동주택 품질검수단 역할을 이달 말부터 확대한다고 13일 밝혔다.
도는 지난 2006년 10월 ‘경기도 아파트 품질검수 자문단’을 발족해 다음해인 2007년부터 기술사, 건축사 등 건축분야 전문가와 공무원이 함께 입주 전 아파트 문제점을 찾아내 바로잡는 공동주택 품질검수 활동을 실시했다.
지난 2010년 ‘경기도 공동주택 품질검수단 설치 및 운영조례’를 제정, 품질검수 자문단 명칭을 품질검수단으로 바꿨다.
품질검수단은 현행 아파트 선분양 제도 문제점과 감리 등에 대한 불신으로 발생하는 시공사와 입주민의 주택품질 관련 분쟁을 예방키위해 출범됐다.
시공·전기·조경·토목 등 각 분야 기술사 및 박사로 구성된 검수위원들과 공무원은 하자발생 사항, 품질저해, 입주민 불편사항 등을 찾아냈다.
도는 시공상 문제점을 현장에서 바로 시공사에 시정 요청 후 시정 여부 또한 재확인했다.
품질검수는 골조공사가 50~60%, 90% 완료됐을 때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지난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간 도내 799개 단지(48만1천185가구)를 검수, 3만3천99건을 지적했다.
이 가운데 3만1천77건(94%)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이에 충북, 창원, 경남, 전북, 영주, 대구 달서구, 군산, 광주, 안동, 전남, 부산 등 전국 11개 자치단체에서 도가 시작한 공동주택 품질검수제도를 도입해 운영중이다.
도는 품질검수제도의 신뢰도를 높이고 더욱 책임있는 행정을 위해 이달말부터 품질검수 횟수를 늘릴 방침이다.
또한 사용검사 전 두 차례만 검수하던 것을 사용검사 후 3개월 내 한번 더 검수하는 내용의 공문을 도내 31개 시·군에 시달할 예정이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