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연구팀이 해양생물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이산화탄소순환기술연구센터 박재연박사 연구팀은 ‘해양원생생물을 이용한 유기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의 기술을 개발, 특허등록을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원생생물은 삼모충이나 유글레나 등 단세포로 이뤄진 벌레로 다른 생물이나 찌꺼기를 먹으며 산다.
연구진이 발굴한 이 해양원생생물은 음식물쓰레기를 먹고 빠르게 분열하며 생물량(바이오매스)이 크게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 음식물쓰레기는 짜게 먹는 식습관으로 인해 바닷물과 비슷한 염도인 3%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어 해양원생생물을 처리에 적용할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음폐수를 1주일만에 처리할 수 있다.
기존의 미생물 혐기성 소화법(통상 1달 이상)보다 4배 이상 빠르다.
박재연 박사는 “해양투기 금지 이후 육상처리 전환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음식물폐수를 자원화 하는 친환경적인 자원순환형 기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생산된 바이오매스는 바이오디젤과 치어 사료 등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