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부실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한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기업부문의 `생산성을 도모하는 것이 기업 구조조정의 목표”라며 “그런 점에서 상시적으로 할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구조조정은) 우리 경제가 긴박하게 안 좋아서 한다는 것은 아니다”며 “앞으로 대외여건이 녹록하지 않으니까 대비 차원에서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 국내 기업이 받을 타격에 대해 “미국의 금리는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계기업이나 과다채무기업에는 분명히 려움이 닥친다. 기업구조조정은 시급히 처리할 과제”라고 밝혔다.
나아가 “중앙은행으로서는 적절한 통화정책을 통해 거시경제 안정을 기하는 것이 구조조정에 도움이 된다”며 “현 금리수준은 구조조정을 원활히 추진하는데 애로 요인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저금리 기조가 기업에 미친 부작용도 언급했다.
이 총재는 “한계기업이 늘어난 데 저금리 기조 장기화도 일정부분 작용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지금까지 거시경제 상황, 즉 성장 모멘텀을 살리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에 저금리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모멘텀 회복도 중요하지만,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도 병행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내수와 관련해선 “올해 3분기 소비 증가는 개별소비세 인하, 블랙프라이데이 효과 등 정책 효과가 큰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경제 주체들의 심리 개선, 임금 증가 등 가계의 실질소득 증가도 많이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앞으로 고용시장이 개선되고 가계의 실질구매력 증가가 예상되는 점을 감안할 때 민간소비는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