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치개혁특위 이재오 위원장은 4일 국회의원정수 문제와 관련, "정개특위 내부에선 의원정수를 현행대로 273명선을 유지한다는 데 대체로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각 당이 기존 당론을 고수하고 있어 합의가 안되는 만큼 특위는 국민의 입장에서 나름대로 절충안을 만들어 각 당에 제의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의원정수를 273명으로 현행을 유지할 경우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원수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채 "현재 지역구 의원수 227명과 비례대표 46명에서 각각 가감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각 당은 여전히 지역구 및 비례대표 비율 등 기존 입장에서 서로 한 발도 양보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어 정개특위 절충안이 마련되더라도 각 당에서 수용될 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특히 지역구 의원수 문제와 관련, 한나라당은 지난 4년간 인구가 250만여명 늘어 증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나 열린우리당은 증원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체 의원정수 273명 현행 유지를 전제로 한나라당은 선거구 인구상하한선 10만~30만명안을 적용, 현행 227개인 지역구수를 243개 안팎으로 16개 정도 늘리고 지역구 증가분만큼 비례대표를 줄여 현재 46명인 비례대표 의원수를 30명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지역구 증가에 반대, 지역구 의원수 227명, 비례대표 의원수 46명 현행 비율 유지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지역구 의원수를 결정짓는 선거구 인구상하한선과 관련, 헌법재판소의 권고대로 선거구 평균인구수를 구한 뒤 상하 50%를 적용, 이를 상하한선으로 정하는 방법을 한 가지 예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여야간 합의를 위해선 지역구 증가를 최소화하되, 비례대표는 현행을 유지하거나 약간 늘리는 선에서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원수가 결정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의원정수는 현행 273명보다 늘어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