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계 및 기업 부채 문제의 위험성을 드러내는 분석 자료가 잇따라 발표된 가운데 금융당국이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며 진화에 나섰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23일 긴급 브리핑을 열고 “최근 가계 및 기업부채와 관련해 나온 진단들은 이미 정부가 알고 대비해 온 주제들”이라며 “정부 입장에서 깜짝 놀랄만한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전날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올 상반기 가계 및 기업 부문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되면서 금융시스템의 잠재 위험이 커졌다는 평가를 내렸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은 21일 공동 발표한 ‘2015년 가계금융 복지조사’에서 가계가 가처분소득의 25%를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가계·기업 부채의 위험도가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김 처장은 이와 관련, “어떤 부분에 위험이 있는지 진단을 정밀히 해야 하지만 더욱 중요한 건 처방”이라며 “정부는 선제적이고 균형된 시각에서 연착륙 해법을 갖고 처방 실행을 위해 일관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처장은 우선 가계부채와 관련, 부채 규모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면서 질적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신용평가사나 외국인 투자자도 한국 정부가 가계부채 문제를 잘 인식하고 부채의 질 개선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 신뢰를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기업부채와 관련해서도 “한계기업 위주로 리스크가 증대하는 상황이긴 하지만 전체적인 기업 부채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진단했다./연합뉴스